고황 대조영 장군상
고황 대조영 장군상

  경자년 금년 한해는 지나온 세월 중에서 가장 힘들게 살았던 것 같다. 살아있어도 산 것 같지 아니하고 해놓은 일이 아무것도 없어 한 해를 허송하게 보낸 것이다. 중국 우환에서 들어온 폐렴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휩쓸고 있으며 지금도 지구상의 전 인류가 전전긍긍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지난 2월 10일 첫 확진자가 나타난 이후 전국적으로 감염시키고 있다. 여름을 지나는 동안 그 기세가 조금 수그러지는 듯하다가 늦가을부터 다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동호인을 만나거나 여행도 마음 놓고 떠날 수 없으며 친구나 친인척의 모임도 가질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연말이 되니 이제 본격적인 겨울철에 접어들고 추위가 점점 심해진다. 그래도 오래 만에 오늘 하루만 포근한 날이 될 거라는 일기예보에 따라 길을 떠나본다. 

  오늘 찾아 나선 곳은 경산시 남천면 송백2리의 발해마을이다. 오랜만에 다시 찾은 마을 입구에는 큼직한 바위에‘발해마을’이라 새겨 놓았으며 도로변에는 태극기와 발해마을을 상징하는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마을 한가운데로 흐르는 개울은 오래전에 복개를 하여 넓은 길이 나있고 농산물집하장 앞에는 마을 안내판이 세워져 있으며 담벼락에는 발해국을 세운 대조영 장군과 기마부대가 만주벌판을 누비는 벽화가 그려져 있다. 고등학생 시절에 이곳에 와사 농촌계몽운동이랍시고 한 달 동안 살았던 곳인데 동네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 보인다. 

  발해마을을 다듬고 가꾸어 나가는 발해왕조제례보존회장 태재욱 선생을 만나 발해마을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발해국(渤海國)은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로 고구려 역사의 연장을 의미하고 있다. 698년부터 926년까지 15대의 왕위를 계승하며 229년간 존속한 나라로 우리 역사에 지울 수 없는 사실이다. 발해의 건국으로 남북국 시대가 열렸는데, 남은 신라, 북은 발해를 이르는 것이다. 발해는 한반도 북부와 만주 및 연해주에 걸친 지역에서 존속하였으며 수도는 발해 성왕 이후로 상경 용천부로 정하고, 초기에는 나라 이름을 진국(震國)으로 정하였으나 이후 해동성국(海東盛國)이나 고려라 불리기도 하였다. 

  발해의 건국은 고구려가 멸망한 지 약 30년 뒤 당나라의 지배력이 약화되고 거란족의 반란을 틈타 698년 만주와 연해주 일대의 고구려 유민과 말갈 세력을 기반으로, 대조영이 동모산 부근에서 건국하였다. 발해는 강한 군사력과 찬란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영토를 확장하여 옛 고구려의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였다. 건국할 당시 대조영이 진국(震國)이라 하였으나, 713년 당나라로부터 '좌효위대장군 발해군왕 홀한주도독(左驍衛大將軍 渤海郡王 忽汗州都督)'으로 명목상 책봉을 받은 후 국호를 발해(渤海)라 하였다. 926년 발해는 갑작스럽게 멸망했는데, 그 이유는 백두산 폭발, 거란의 침입, 지도층의 내분 등 다양한 학설이 제시되고 있으나 모두가 명확하지는 않다. 발해국이 멸망한 이후 고왕 대조영의 후손들이 대거 옛 고구려 땅에 유민으로 정착하였다. 그 이후 영순태씨 일족은 상주, 문경지역에서 세거하다가 임진왜란 직전에 이곳으로 옮겨와 살았다고 한다. 

  역사학계에서는 지금까지 대조영에 관하여 여러 가지 견해가 나오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구당서에 나온 고려 별종(渤海靺鞨大祚榮者 本高麗別種也)으로 나온 것으로 보아 고구려 장군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동북공정이란 미명으로 2001년부터 중국의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이 고대 중국 정부의 동북 지방에 속했다는 역사 왜곡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중국이 발해의 역사를 중국사로 편입시키려는 행태에 대해 태씨 문중의 일족이 똘똘 뭉쳐 역사바로세우기를 전개한다는 것이다. 참으로 대견하며 그의 용기가 대단해 보였으며 나라와 역사를 올바로 인식하고 그 누구도 엄두를 내지 못했던 일을 추진하고 있음에 존경스러운 마음이 앞선다.   
 
  태재욱 회장은 영순태씨 43세손으로 1942년 경산시 남천면 송백2리 721번지에서 2남 4녀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대구에서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업을 하다가 1990년 초에 귀향하여 문중 재실을 관리하던 중 대조영을 모시는 사당과 영순태씨 입향조에 대한 내력을 소상히 알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2001년부터 중국이 동북공정을 진행하면서 우리나라 역사인 발해에 대하여 중국사로 편입시키려는 역사 왜곡 사실을 접하게 되어 중국이 우리나라 역사의 근간을 흔들고 있음에 참을 수가 없었단다. 우리가 가만히 있으면 대조영의 후손으로서 도리가 아니라는 죄책감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그래서 이때부터 중국의 역사 왜곡을 반박하기 위하여 종인들의 중지를 모아 발해국의 대조영 후손들이 사는 마을을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공간으로 복원하기로 하였다. 역사 자료를 수집해 나가면서 장기적으로 발해마을 종합계발계획을 추진하였으며‘발해왕조제례보존회’를 결성하여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곳 송백2리를 발해마을이라 한 배경을 이렇게 이야기해 준다. 대조영의 후손인 영순태씨 일족이 집성촌을 이루고 사는 마을이라서‘발해마을’이라고 부른다. 발해는 거란의 침공으로 9세기 후반 멸망했고 발해왕조의 마지막 세자 대광현은 934년 민중 수만 명과 함께 고려로 내려와 살았다. 이후 대조영의 아버지 대중상의 18세손인 중시조 태금취는 고려 고종 때 몽골군을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워 대장군에 오르면서 지금 문경 일대인 영순현 고을을 하사받아 다스렸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대중상의 31세손이며 통전대부를 지낸 태순금이 피난하여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영순태씨는 북한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고, 국내에는 이곳 발해마을이 유일한 태씨 집성촌이라 한다. 1950년 중반에는 송백리에만 60여 가구가 살 만큼 번성했으나 이농현상으로 지금은 27가구에 40여 명 정도이고 주민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약 9천여 명이라 한다.

  그런데 대조영(大祚榮)의 후손이 어떻게 태씨(太氏)인지 궁금하여 문의하였더니 이렇게 이야기해 주었다. 영순태씨의 태(太)는 큰 대(大)와 서로 통용되는 글자이다. 두 글자는‘크다’라는 의미인데 대(大)를 더욱 강조하기 위해 획을 하나 추가해 태(太)로 썼을 뿐이다. 중국의 역사 기록서인 '동사통감'에도 대조영을 태조영이라고 쓴 기록이 있고 '고려사'에도 고려 후기의 무신 대집성(大集成)을 태집성(太集成)과 혼용한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을 들어보니 궁금증이 풀린다. 

  이어서 발해마을을 가꾸어 온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발해마을은 2016년 농촌건강장수마을에 선정되었고, 2017년 농촌진흥청 주관‘전국 어르신 마을가꾸기 경진대회’에 참가하면서 대조영 후손들이 살고 있는 태씨 집성촌이라는 역사 콘텐츠를 발굴, 적극 활용해 그해 9월에 발해마을 입구에 대형 마을 표지석을 세웠고 신도비, 발해고황 대조영 장군상 제막식을 가졌으며 마을벽화, 기마상 조형화, 안내표지판, 발해 상징 로고 깃발과 태극기 게양, 마을 스토리 지도 등으로 마을환경을 정비하는 등 경산을 대표하는 농촌 관광마을을 조성하였다. 2017. 11. 28일‘전국 어르신 마을가꾸기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그동안 고황제 대조영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지 못하다가 2015년부터 춘분과 추분에 제사를 지내기 시작했으며 제사를 지낼 때는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영순태씨 후손들이 모두 모인다. 처음 대조영 후손들이 고려에 내려왔을 때만 해도 왕조 제사를 지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중시조 제사로 작아졌다가, 2015년 영순태씨와 협계태씨를 합치면서 다시 왕조 제사로 부활하여 지내고 있다. 2018. 3. 21일 사당에 대조영의 표준영정을 모시고 발해왕조 춘분 대제를 지냈다고 한다. 그리고 '발해국 태씨의 뿌리 및 민족사'란 대형 유래석을 세움으로 발해 마을을 찾는 탐방객들에게 발해국의 역사와 명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게 하였다. 대조영의 영정을 모시는 추모재(追募齋) 앞 정원에는 발해마을 안내판, 발해국 태씨의 뿌리 및 민족사 유래석, 대조영 흉상, 석등 등이 조성되어 있다.
  
  대조영의 표준영정을 제작한 과정도 이야기해 주었다. 대조영의 표준영정은 얼굴 박사 조용진 한국얼굴연구소 소장이 전국의 142명의 태씨 남성 얼굴 사진을 찍어 특징을 종합 분석한 뒤 민두상을 만들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숙명여대 권희연 교수가 영정을 그렸다고 한다. 이 작업엔 석 달 정도가 걸렸다. 태씨 일족의 남성은 한국인의 평균 남성보다 머리의 앞과 뒤가 더 큰 특징이 있다. 대조영 표준영정은 현재 정부 표준영정 제8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한 점은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단다.

  발해마을을 더욱 다듬고 가꾸어나갈 포부도 들려주었다. 2013. 5. 27일 중국 지린성(吉林省)에 발해 왕궁이 있던 자리에서 흙을 한 되 퍼 와서 소중히 보관하고 있으며, 대조영 황제의 왕릉을 재현해 능 안에 중국 발해 왕궁터에서 갖고 온 흙을 넣어 두고 싶다고 한다. 또 발해역사관과 박물관도 건립하고 한옥마을을 조성하며 대조영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라 한다. 또 대조영 영정을 모신 고황전 사당도 큼직하게 마련하고 그 뒤쪽에 대나무 산책길을 만들어 역사교육 관광지로 가꾸는 '발해마을종합계발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 한다.

  마른 장작으로 군불을 지핀 따듯한 방안에 앉아 발해마을의 이야기를 듣는 동안 태재욱 회장님은 생동감이 넘치며 기백과 사명감을 갖고 보람 있는 일을 추진함에 참으로 행복감을 느낀다고 하니 신바람이 나는 삶인듯하다. 흔히들 경산에는 문화관광자원이 별로 없다고 하는데 이곳에 발해마을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삼성현공원과 압량의 김유신장군의 군사 훈련장인 경산병영유적, 자인 한장군 유적, 구룡산 반룡사, 용산산성 등과 더불어 관광 벨트화하면 수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것이라 생각된다. 밖으로 나와 태재욱 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동네 한 바퀴를 돌아보고 고황제 대조영을 모시는 추모재 및 사당과 조형물을 살펴보았다. 정부 기관이나 역사학자들이 해야 할 일을 민간차원에서 나라의 장래를 걱정하여 발해마을을 가꾸어나가는 그의 일상이 언제나 평화롭기를 기원하며 발길을 돌린다.                          (2020. 12. 29. 화)             발해국 대씨의 뿌리 및 민족사                    고황 대조영 장군상

기자명 송하_전명수
저작권자 © 경산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