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  김 문 규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했다. 그만큼 긴 안목으로 멀리 보고 계획을 세우고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다. 국가의 교육정책은 그 국가의 미래 자산인 인재를 양성하는 원대한 계획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대통령만 바뀌면 교육정책이 바뀌는 교육수난을 겪게 된다. 긴 안목의 교육정책이 아닌 대통령의 뜻에 따라 바뀌는 교육정책 때문에 교육당국과 학생들에게 혼란만 가중시킬 뿐 백해무익이다.
  교육정책이 정권하고 무슨 연관이 있는가. 이번 정부도 교육정책에 확실한 무리수를 두고 있다. 현재 중3인 학생들이 치를 2021학년도 수능개편을 둘러싸고 논란이 치열하다. 교육부의 권역별 공청회를 거친 후 논란은 더 거세지고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수능개편안 비판은 커지는데 교육부는 오는 31일을 최종안발표 시한으로 못 박았다. 1998년 당시 학생들에게 공부에 대한 부담을 줄이겠다며 야간자율학습을 없애고 수시확대로 제도를 바꿔 당시 중3들이 큰 혼란을 일으켰다. 이번 수능개편안도 졸속진행으로 닮은 꼴이다.
  현재 중3들은 “우리가 실험대상이냐”며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김대중 정부에서 교육부장관을 하던 이해찬 의원은 1998년 중3학생들에게 한가지만 잘하면 대학에 갈 수 있게 하겠다고 했다. 무시험 특기자 전형 등 수시비중을 늘리고 공부부담 경감을 이유로 야간자습과 0교시, 보충수업폐지도 약속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수능시험이 매우 어렵게 출제돼 수능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 때문에 2002학번은 학력수준이 낮다는 말과 함께 이해찬 세대로 불린다.
  현재 중3들은 자신들이 김상곤 세대가 될 것을 염려하고 있다. 김상곤 교육부장관도 학생부담을 덜어주고 경쟁을 완화하겠다면서 교육전반을 아우르는 정책들을 함께 내놓는 대신 수능개편안만 발표해 학생들을 혼란스럽게 했다는 점이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문제 저문제 세세히 따질 것도 없이 교육은 급히 서둘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논란이 큰 수능개편을 시간을 두고 재 설계 할 것을 요구한다.

저작권자 © 경산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